11. 얼굴 사진에 의한 인물의 판단
어째서 맞지 않는 걸까?
얼굴사진에 의해 인문판단을 하는 것이 많다. 입사시험에 응모할 때 보내는 이력서에는 무조선 얼굴 사진이 있고 맞선에서 상대를 처음에 판단하는 것도 사진.
그런데 얼굴사진만큼 잘못된 판단을 하는 것을 없을 것이다. 어느 미국의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을 했다고 한다.
46명의 미국 병사의 얼굴 사진을 바탕으로 각각의 인물 지능의 좋은 점과 제일 좋은 타입의 얼굴을 선택시켰다. 이 테스트를 25명에게 실행한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이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답한 얼굴을 "지능이 높은 얼굴"이라고 판단했다고 한다. 거기에 이마가 넓은 얼굴, 코가 높은 얼굴을 "지능이 높다"라고 생각한 사람이 많았지만 지능검사로 측정한 결과와 이 판단은 일치 하지 않았다.
이와같이 인간의 얼굴사진으로 판단해버리는 것은 호크버그에 의하면 뭔가 하나 좋은 특징이 있으면 다른 좋은 특징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일종의 편견이 생기게 된다는 것이다. 핸섬한 얼굴, 프로포션(비율)이 좋은 얼굴을 일반적으로 "미인의 얼굴", "지적인 얼굴"이라고 금방 생각해버리기 때문에 얼굴 판단이 좁아져 버린다는 것이다.
그러면 얼굴사진의 어느것을 주의해야 할 것인가?
사진을 토대로 얼굴을 생각해 보자. 우선 여기에 있는 2장의 사진과 같이 눈의 양끝에서 입의 양 끝으로 이어지는 선을 긋는다. 이 2개의 선에의해 만들어진 삼각현의 정점은 어디에서 오는가?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오카다 리코의 얼굴에는 교차점이 턱의 끝에서 조금 더 아래 있다. 그것에 비해 남성의 얼굴 사진은 교차점이 매우 아래에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에게 이 교차점은 오카다와 같이 턱 부근에 있지만 남성의 경우 대부분 턱 아래로 삼각형의 정점이 지나간다.
하지만 이 삼각형의 점점이 턱 부분에 가까울 수록 내향적인 성격의 사람이 많다. 정점이 아래로 갈수록 외향적인 성격의 사람이 많다. 여성의 경우에는 조금 턱의 끝에 점점이 오는 사람은 매우 내향적으로 이성관계에서도 남에게 의지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것에 비해 삼각형의 정점이 매우 아래에 있는 여성은 남자답고 오기가 강하다. 모험으 ㄹ좋아하고 일에 대해서도 의욕적으로 여성 실업가, 여성 국회의원으로 성공한 사람이 많다.
얼굴사진으로 주목할 또 한가지는 귀의 위치. 코의 끝을 지나는 수평선을 그었을 때 귀의 위치를 비교해 보자. 오카다의 얼굴에는 귀는 이 수평선 보다 위에 있는데 남성의 얼굴에는 선보다 아래에 귀가 있다. 귀가 위로 올라갈 수록 신경질적, 아래로 내려갈 수록 끈기가 강하다.
'관파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장] 한 눈에 꿰뚫는 급소. 얼굴의 오른쪽은 본성, 왼쪽은 욕망. (0) | 2021.06.20 |
---|---|
[2장] 한 눈에 꿰뚫는 급소. 얼굴모양과 성격 (0) | 2021.06.17 |
[2장] 한 눈에 꿰뚫는 급소. 발 모양은 몸의 지표 (0) | 2021.06.12 |
[2장] 한 눈에 꿰뚫는 급소. 겉모습에 주의할 포인트 D_02 (0) | 2021.06.11 |
[2장] 한 눈에 꿰뚫는 급소. 겉모습에 주의할 포인트 D_01 (0) | 2021.06.09 |
댓글